본문 바로가기

WEB26

[Spring] Controller, Service, DAO, DTO Controller 웹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를 받고, 이 로직을 처리할 Service를 선택하여 호출한다. 처리한 데이터를 Model에 담아 다음 페이지에서 볼 수 있도록 이동할 페이지를 리턴한다.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명시해준다.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DAO를 이용해서 결과 값을 받아온다. @Servic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명시해준다. DAO(Data Access Object)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atabase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쓰기, 삭제, 변경의 기능을 수행한다.(CRUD) DB 테이블당 하나의 DAO를 작성한다.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한다.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2022. 6. 21.
[Spring] AOP 개념 및 라이브러리 설치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부가기능(advice)을 동적으로 추가해주는 기술이다. 메서드의 시작 또는 끝에 자동으로 코드(advice)를 추가한다. Advice의 설정은 XML과 어노테이션,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target : advice가 추가될 객체 advice : target에 동적으로 추가될 부가 기능 코드 join point : advice가 추가(join)될 대상(메서드) pointcut : join point들을 정의한 패턴 proxy : target에 advice가 동적으로 추가되어 생성된 객체 weaving : target에 advice를 추가해서 proxy를 생성하는 것 String AO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브러리 설.. 2022. 6. 17.
[Spring] DI, 어노테이션 정리 Bean Spring Container가 관리하는 객체이다. ApplicationContext JSP의 기본 객체, BeanFactory를 확장해서 여러 기능을 추가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이다. [web.xml] ContextLoaderListener(이벤트처리기)를 이용해 Root ApplicationContext 객체(부모)와 Servlet ApplicationContext 객체(자식)를 생성한다.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 2022. 6. 16.
[Spring] validate - 데이터 유효성 검증 컨트롤러의 매개변수를 받는 곳에서 유효성 검증을 하나하나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유효성 검증에 관한 부분을 validator를 생성하고 호출하여 검증을 진행하도록 한다. 1. Validator를 상속받는 UserValidator 클래스 생성 public class User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User.class.equals(clazz); // 검증하려는 객체가 User타입인지 확인 return User.class.isAssignableFrom(clazz); // clazz가 User 또는 그 자손인지 확인 } @Override public void valid.. 2022. 5. 26.